top of page
언론이 주목한 파이

[중앙일보] 시론-대학밖 떠도는 20대 청년들...대안대학으로 포용하자

https://news.joins.com/article/22946314

[시론] 대학 밖 떠도는 20대 청년들 … ‘대안대학’으로 포용하자

[중앙일보] 입력 2018.09.06 00:32 |

 

휴학도 취업도 하지 않은 청년들
청년 취·창업 지원 정책으론 한계
‘대안적 고등교육’ 눈여겨 봐야
평생교육 대상에 청년 포함해야

김혜원 호서대 청소년문화상담학과 교수

김혜원 호서대 청소년문화상담학과 교수

한국사회에는 ‘학교 밖 10대 청소년’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대 청년들 또한 모두 대학이나 직장에 소속된 것은 아니다. 다양한 이유와 욕구로 인해 ‘대학 밖 20대 청년들’이 수없이 많이 존재한다.   
  
이들은 경제적 독립이 어려운 이유로 성인이면서 성인이 아니고, 개인적 잘못만이 아님에도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 자책과 열등감을 느끼며 사회로 나오지 못하고 있다.   
  
‘대학 밖 20대 청년들’이란 낯선 용어로 묶이지만, 이들도 엄연히 존재하는 사회의 좋은 교육적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는 미래의 귀한 인적자원이다.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2000년대 들어 80%까지 상승하다 다시 큰 하락세를 보여 2017년 68.9%까지 떨어졌다. 대학생들의 휴학과 졸업유예도 증가하고 있어 2018년 들어 5명 중 2명이 휴학을 계획하고, 5명 중 1명은 졸업을 유예하고 있다. 말하자면 청년 중 상당수가 대학에 다니지 않거나, 직업을 갖지 않았거나, 혹은 이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한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30% 이상의 청년들, 중도에 대학을 벗어난 휴학·자퇴생들, 대학을 졸업하고도 사회(직장) 언저리를 맴도는 취준생과 알바생들, 몇 년씩 기약 없는 전쟁을 치르는 공시생들이 이들이다. 이들은 과연 한국 사회의 본류에서 벗어난 이단아들인가. 아니면 그 나이에 꼭 속해야 할 대학과 직장에서 이탈된 낙오자들인가. 
  
이들은 연령상으로는 성인이다. 하지만 경제적 주체로서 성인기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도와 연습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는 청년들에게 그럴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 최근의 청년 취·창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은 청년들에게 오아시스의 단물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오아시스는 그저 목을 축이게 할 뿐 오아시스 옆에 보따리를 풀고 삶을 정착할 수는 없다. 
  

시론 9/6

시론 9/6

이보다 더 좋은 답은 없을까. 이런 점에서 최근 생겨나고 있는 ‘대안적 고등교육(대안대학)’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한국사회에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개념이지만 유럽과 북미 등 교육 선진국들에서는 이미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ojskole)·국제시민대학(International People's College)·카오스필로츠(KaosPilots), 프랑스의 에콜42(Ecole42), 미국의 미네르바대학 등이 좋은 사례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성 교육의 한계를 절감하고 여러 교육형태를 실험해온 교육 선진국들이 고민한 결과물이다. 
  
대안대학이라 불리는 이런 교육 기관들은 한국에서도 2000년대 초부터 일부 시작됐으며 최근 4~5년 다양한 지향점과 교육과정을 갖춘 기관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공식적 기관으로는 대안대학파이, PaTI, 풀뿌리사회지기학교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외에도 청년들 스스로 작고 큰 조직을 만들어 삶에 필요한 공부와 연습을 하는 모임도 다양하다. 
  
이런 교육기관은 머리로 배워 아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익히게 하는 데 초점을 둔다. 공동목표를 가진 소수 인원이 모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마을공동체 활동을 주도한다. 중등학교를 마치고 성인기 자립을 혼자 준비하기 버거운 시점에 청년들이 함께 모여 자신에게 맞는 영역에서 삶을 모색하고 실천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 기관과 조직의 존재 의미가 크다. 이 속에서 청년들은 자유롭게 실험하고 실패하고 다시 도전하는 귀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들 청년을 더 체계적으로 도울 방법은 무엇일까. 최근 한국사회는 평생교육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지원을 하고 있다. 평생교육은 모든 연령층에 대한 교육적 지원의 의미를 담고 있지만 유독 초점은 중장년과 노년층에 맞춰져 있다. 
 


이제 20대 청년들을 평생교육에 더 적극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현재의 평생교육 지원시스템 안에서 청년들이 다양한 대안적 고등교육기관을 통한 배움을 당당하게 경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평생교육 테두리 안에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청년들이 가장 필요한 교육 내용을, 가장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본인들이 선택한 기관에서, 적은 재정적 부담 속에서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절실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격증이나 스펙 등 구체적 결과의 기준만으로 이들 청년을 내몰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청년들에게 자신의 인생 가치와 의미를 되찾을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건강하고 자신감 있게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것만으로도 사회적 투자의 의미는 충분하다. 
  
김혜원 호서대 청소년문화상담학과 교수 
 

 

첨부파일 다운로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