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언론보도

[경기도평생학습포털] 방구석에서 희망 찾기


<강좌소개>

학업과 취업 경쟁이 심화되고, 쌓아야 할 스펙은 많아진 현대 사회에서 경쟁을 견디지 못한 채 은둔형 외톨이로 살아가는 청년들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실제 조사에 따르면 20대 은둔형 외톨이가 44.4%로 집계될 만큼 청년층의 심리 건강 상태가 우려되는 상황인데요.


소중한 미래 세대가 방안에 스스로를 가두지 않게끔 할 수 있는 예방법과 더불어, 은둔·고립 청년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대한뉴스] 은둔형외톨이지원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

오늘 12월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은둔형외톨이 지원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가 열립니다.

은둔형 외톨이 지원법 제정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관련된 기사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SK행복나눔재단] 취약 청년의 고립·자립 다루는 ‘SIT Conference’ 영상

지난 11월 SK행복나눔재단에서 SIT컨퍼런스를 개최했던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자립준비청년과, 고립·은둔청년의 진정한 자립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사회적 관계망의 부족으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가진 이들은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건강한 자립을 이루기 어렵습니다.

스스로 홀로 서는 '자립'대신, 함께 어울려 서는 '연립'의 관점으로 청년 자립을 바라보면 어떨까요?

이와 관련된 영상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SK행복나눔재단] 취약 청년의 고립·자립 다루는 ‘SIT Conference’ 기사

지난 11월 SK행복나눔재단에서 SIT컨퍼런스를 개최했던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자립준비청년과, 고립·은둔청년의 진정한 자립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사회적 관계망의 부족으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가진 이들은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건강한 자립을 이루기 어렵습니다.

스스로 홀로 서는 '자립'대신, 함께 어울려 서는 '연립'의 관점으로 청년 자립을 바라보면 어떨까요?

이와 관련된 기사를 공유해볼까 합니다.

bottom of page